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 교양한문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양한문 교육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대인들의 오랜 전통적 학습방법이자 생활문화, 사고양식으로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를 중심으로 ‘하브루타 중심의 교양한문 교육의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K대학에서 2017학년 2학기 수업 기간 동안 총 5번의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기존 강의계획서를 수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학기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 관찰과 학습자의 면담, 설문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및 기말고사에서는 단순한 객관식과 해석 중심의 필기시험이 아닌 논술 글쓰기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하브루타의 교육방식이 실제 적용했을 때 교양한문 수업을 수강했던 학습자들의 수업효과성 측면에서 특히 학습만족도(M=4.25)와 학습몰입도(M=3.55)가 평균 3.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이 진행된 후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 또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브루타의 교육방식이 실제 대학에서의 교양한문 수업에서 적용되고 활용되는 양상은 교수와 학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방식을 대학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Chinese class as the University Liberal Arts Subjects, focusing on Havruta Method, a dialogue and discussion among the Jewish people'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life culture, and Learning. Learner-centered Chinese class was applied by applying 5 times of Havruta metho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We revised the existing lecture plan, focusing on Havruta Method and applied it to a semester class based on it. 33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gical thinking of learners was also improved. Second, average of learning satisfaction was 4.33, and average of learning flow was 3.55. Third, learner’s perception on the Havruta Method was divided three kinds of things: good, difficult, and improvement. The way in which Havruta method is applied and utilized in the Chinese class in actual universit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results of thin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basic data when applying the Havruta method to university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