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활공간인 지역사회와 학습공간인 학교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청소년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는 그들의 정서적 역량 발달과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를 배경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3차년도(2012) 자료를 활용해 이들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인식,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으로 측정된 청소년이 지각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학교적응과 정서적 역량 모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으로 측정된 정서적 역량은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계적 분석결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성장과 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 사회자본 가운데서는 특히 다문화에 대한 포용적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청소년의 정서 발달과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양질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자치단체와 지역주민들의 협력 없이는 구축되기 어렵다. 본 논문은 지역 단위 중심의 청소년 사업 설계와 복지서비스 체계 구축을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와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학교 주변과 잘 연계된 지역사회 중심으로 청소년 대상 사회서비스 공공프로그램을 민관협력 방식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imate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and school that is a living space and a learning space for adolescents. The existing studies have demonstrated how residential community life influences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school adaptation,. This study verifies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3rd 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2012). Our analysis confirms that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measured by community awarenes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both school adaptation and emotional competence. Emotional competence, measured by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i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mmunity social capital influences adolescents’ life in building confident character and growing as a mature person. Among the components of community social capital, open minde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is found to be important. Building a good community where adolescents can live a healthy life requires the cooper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 We propose adolescent social service programs which are centered on a residential area linked to nearby school z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