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댄스만달라를 학문적으로 소개하고 그 심리 치유적 효과를 사회 과학적 실험을 통해 분석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서론에서는 댄스만달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댄스만달라 창안자인 아리랏에 대한 소개와 댄스만달라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본문에서는 댄스만달라의 이론적 배경인 의식의 네 층, 다섯 코샤, 사성제 팔정도를 댄스만달라와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또한 댄스만달라 프로그램의 개요, 댄스만달라 일곱 나선형(DANCEmandala 7 Spirals)과 지도(DANCEmandala Map)를 중심으로 구조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측정을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댄스만달라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댄스만달라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설로 댄스만달라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댄스만달라 프로그램 전 1.75±0.50점에서 프로그램 후 2.08±0.3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z =-2.953, p=0.003) 증가하였다. 댄스만달라 프로그램은 사회적 지지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댄스만달라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프로그램 전 3.70±0.63점에서 프로그램 후 3.90±0.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z =-.926, p=0.178) 않았다. 결론과 제언으로는 댄스만달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새로운 움직임 명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hat introduces DANCEmandala academically and analyzes its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through social science experiments. In the introduction, we introduced Areeradh K Tri-siddha the creator of DANCEmandala, and defined the concept of DANCEmandala to help you understand the basics of dance mandala. In the tex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ANCEmandala, the four layers of consciousness, the five koshas, and the eight degrees of the Four Truths, wer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the dance mandala. In addition, the structure was described based on the overview of the Dance Mandala Program, the DANCEmandala 7 Spirals and the DANCEmandala Map. And the DANCEmandala program was operated as a single group pre-post design to measur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methods and social support. As a result, the stress coping metho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ANCEmandala progra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tress coping method, and the soci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hypothesis, the DANCEmandala program will have an effect on the stress coping method. As a result of testing, the stress coping method of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1.75±0.50 points before the DANCEmandala program to 2.08±0.39 points after the program (z = -2.953, p=0.003) increase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ANCEmandala program will have an effect on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testing, the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DANCEmandala program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3.70±0.63 points before the program to 3.90±0.42 points after the program (z =-. 926, p=0.178). As a conclusion and suggestion, we inten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ovement meditation program using the DANCEmandala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