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한제국 정부가 세운 최초의 근대식 의학교육기관인 의학교의 탄생은 지석영의 우두법 도입을 위시한 조선의 주체적인 근대의학 지식 수용의 결실이었다. 이 의학교에서는 본격적인 근대의학 지식 수용을 위해 초창기부터 일본인 교원 채용과 의학교과서 번역작업이 진행됐다. 그 과정에서 일본인 교원에게 의학교 학생들이 그들의 의학지식을 따져 묻고 배제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조선 근대의학의 변증법적 발전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선인 의서 번역자들의 등장과 그들의 작업물을 통해 더욱 분명해진다. 현재까지 발견된 의학교에서 사용한 의학교과서는 유창희가 번역한 『병리통론』과 유병필이 번역한 『해부신학박제진전』 두 권뿐이다. 하지만 이 두 권이 시사하는 바는 적지 않다. 근대의학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이론이자 전통의학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병리학과 해부학이기 때문이다. 특히 1902년 학부에서 발행된 『병리통론』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교과서일뿐 아니라 공식적인 의학 지식의 장(場)에 특정병인론과 국소병리학이라는 근대 의학관의 두 기둥을 최초로 제시한 작업으로 그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The birth of Uihakgyo(the first modern government medical school in Korea) itself was the fruit resulted from the adoption of modern medical knowledge as well as Ji Seokyeong's introduction of smallpox vaccination. In the Uihakgyo, the recruitment of Japanese instructors and the translation of medical textbooks were conducted to fully adopt the modern medical knowledge from the earliest days. In the process, students enrolled in Uihakgyo sometimes interrogated Japanese teachers about their medical knowledge, suggesting that the medicine in Joseon was developed into more independent one. Such a dialectic change was more certainly verified by the appearance of Korean medical book translators and their translations. The medical textbooks containing the modern medical knowledge used in Uihakgyo, which has been discovered, include only two volumes: 『Byeonglitongron』 translated by Yu Changhui and 『Haebusinhakbakjejinjeon』 by Yu Byeongpil. These two volumes, however, give significant suggestions, since it is both pathology and anatomy that are most central theories in the modern medicine and mos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In particular, 『Byeonglitongron』 published by the Education department in 1902 have a very important historical implication, in that it is not only the oldest medical textbook among those that are existent, but also it first suggested two columns for the modern medical philosophy to the field of formal medical knowledge; specific etiology and regional pathology.


大韓帝国政府が建てた初の近代式医学教育機関である医学校の誕生は池錫永の牛痘法導入をはじめとした朝鮮の主体的な近代医学知識受容の結実であった。医学校では本格的に近代医学の知識を取り入れるため、設立初期の段階から日本人教員を採用し医学教科書の翻訳作業を行なうなど様々な努力がなされてきた。そしてこうした過程で生徒が日本人教員の医学知識に疑問を呈し、彼らの辞職を要求する状況も発生した。これは朝鮮の近代医学が弁証法的発展を遂げていたことを意味する一つの証拠でもあった。また朝鮮人翻訳家が登場し、医書が翻訳されるようになったことでこうした弁証法的発展にさらに拍車がかかった。 近代医学受容の舞台となった医学校で実際に使用されていたころが明らかになっている医学教科書は現時点では劉昌熙が翻訳した『病理通論』と劉秉珌が翻訳した『解剖新學博濟眞詮』2冊のみだ。わずか2冊に過ぎないものの、近代医学の中でも最も重要な理論であり、伝統医学との決定的な違いが見られる病理学・解剖学分野の医学書であるという点で非常に重要な意味を持つ。特に1902年に学部(学務行政を管掌していた中央官庁)から出版された『病理通論』は現存する最も古い医学教科書であるだけでなく、医学知識を習得するための公式的な場において近代医学の代表的概念である特定病因論と局所病理學を初めて提示した教材であるという意味で歴史的に見ても非常に重要な書籍であっ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