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육군사관학교 여성 사관생도들이 군대사회화 과정에서 군대문화의 어떠한 규범과 가치를 먼저 체득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8년 최초로 육사에 입학한 여성 사관생도들이 작성한 수기 43건을 분석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결과 4개의 주제를 식별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주제들은 상호존중과 협력, 책임과 용기 등 육군 장병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가치와 관련된 경험을 다루고 있었다. 본고는 분석자료, 이론 및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첫째, 지금까지 장병들이 작성한 자연어 자료를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1998년 육사에 최초로 입학한 여성 사관생도들은 여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생도 문화에 적응해야 했다. 이 과정에 대한 기록은 군대 사회화를 연구하기 위한 학술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둘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여군 연구는 군대문화의 하위문화와 여군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치우친 경향이 있다. 본고는 여군들이 여성 정체성 보다 육군 정체성을 우선한다는 사실을 밝혀 여군이 여성이 아니라 육군 구성원으로 군대 조직에 통합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기존의 여군연구는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등 특정 연구방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인간 내면에 작용하는 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본고의 연구방법은 다른 군대문화 연구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at cultural values or norm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female cadets in the Korea Military Academy would internalize through the military socializ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43 memoirs that first female cadets who entered the Korea Military Academy in 1998 wrote. Significant findings go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core values of the Army, in particular, cohesion, courage, and responsibility dominated the thinking and behavior of female cadets. The memoirs had these four topics, which could adequately reflect how sensitive they were to being judged by those cultural values of the Army. Findings give the implication that we need more empirical research on the subcultures in which female officers build their identity as a sold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