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선 경찰관들의 직무불만족 요인을 파악하여 치안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는데 기초를 마련하고자 수행된 것이다. 경찰관서 각 부서에서 실무를 처리하는 팀장 등 이하(경찰 계급상 경감 이하) 경찰관들의 역동적 상황을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연구방법으로서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A경찰서 및 서울 지역에 근무하는 경찰관 총 14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인터뷰 자료 코딩과 분석을 통하여 개념과 범주들을 도출하였고 이들을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맥락/조건/작용・상호작용/결과로 분류하였다. 맥락에는 승진제도의 공정성 문제, 직업적 자부심 약화, 동료관계의 갈등 등 6개의 범주, 조건에는 경직된 업무여건, 승진에 올인하는 조직풍토, 전문성에 역행하는 조직현실, 획일적 관료주의 등 6개의 범주, 작용・상호작용에는 형식적 업무처리, 보수적인 현실순응, 주변적인 개선 등 4개의 범주, 결과에는 보신주의, 정신적 역동성의 저하 등 3개의 범주를 각각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조직문화지체에 따른 경찰관 직무불만족의 구조화라는 핵심범주를 발견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관의 직무불만족 현상에 대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치안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경찰조직의 문화행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Police had a very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s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curity activit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of police field officers’ dissatisfac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4 police officers working at A Police Station of Gyeonggi Province or in Seoul area. Concepts and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data coding and analysi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Context/Condition/Action・Interaction/Result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Grounded Theory. In Context, there are six categories, including fairness issues in the promotion system, weakening professional pride, and so on. In Condition, six categories, such as rigid work conditions, organizational climate immersed in promotion, and so on. In Action・Interaction, four categories, including formal work handling, conservative adaptation to reality, and so on. In Result, three categories, such as self-preservation principle, decline in mental dynamism, and so on. This researcher discovered a key category of “structuralization of police officers’ dissatisfaction due to organizational cultural lag.” To alleviate the dis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some measures are needed like improvement of the rank structure and promotion system, fostering and encouraging experts. In addition, it will ultimately be necessary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shift their perceptions and make efforts independ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