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라남도 고흥군 무명도, 계도, 감낭여, 작은발도, 안목섬, 형제도, 소취도, 대취도, 독도, 준도, 부아도, 고래섬, 바래도, 무학도 등의 주요 무인도서를 중심으로 현지 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식물군락은 상록활엽수림 식생인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후박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 후박나무-동백나무군락, 후박나무-참식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돈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식생인 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소나무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예덕나무군락, 상동나무 군락, 조팝나무-예덕나무군락, 조팝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상록침엽수림 식생인 곰솔군락, 곰솔-굴참나무군락,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조림 식생인 왕대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솜대군락, 사방오리나무군락, 초지 식생인 이대군락, 칡군락 ,칡-억새군락 등이 나타났으며, 각 군락의 식생분석과 우점군락을 기술하였고, 식생의 상관, 주요 식생형, 식생평가에 따라 각 조사지점별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이들 군락 중에서 무학도는 후박나무-동백나무군락, 후박나무-참식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락, 부아도는 섬의 정상 능선을 중심으로 북사면의 후박나무군락, 후박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 준도는 구실잣밤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대취도는 구실잣밤나무군락, 소취도는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바래도는 구실잣밤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나무-돈나무군락 등은 상록활엽수 2차림으로 발달하고 있었으며, 식생보전등급 Ⅱ등급으로서 안정된 상록활엽수림 식생이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무인도 생태자연도 등급 평가 기준에 따라 Ⅰ등급 지역은 소취도, 대취도, 준도, 부아도, 고래섬, 바래도, 무학도이며, Ⅱ등급 지역은 무명도, 계도, 감낭여, 작은발섬, 안목섬, 형제도 이며, Ⅲ등급지역은 독도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역의 무인도서중에서 식생분야의 특정도서로서 지정이 가능한 도서는 소취도, 대취도, 준도, 부아도, 바래도, 무학도 등으로 생각된다. 이들 도서는 남해안의 지리적 특성을 갖는 식생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보존가치가 높은 무인도서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to October 2017 to examine the conservation values assessment class and vegetation of uninhabited islets on the Goheung-gun, Jeollanam-do, Korea. The physiognomic classification divided the area into the following 5 types: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fforestationand herb vege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of this classification using the Braun-Branquet method, plant commun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thirty different communities, such as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Litsea japonica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Neolitsea sericea community, Neolitsea sericea community, Eurya emarginata-Pittoporum tobi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Mallotus japonicus community, Sageretia theezans community, Celtis sinensis-Mallotus japonicus community,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variabilis community, Pinus thunbergii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community, Alnus firma community, Pseudosasa japonica community, Pueraria lobata community, and Pueraria lobata-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The grade Ⅰarea in uninhabited island ecological nature states of the survey region is Sochwido, Daechwido, Jundo, Buado, Goraeseom, Baraeseom, and Muhagdo.The grade Ⅱ area is Mumyeongdo, Gyedo, Gamnangyeo, Jageunbalseom, Anmogseom, and Hyeongjedo. The grade Ⅲ area is Dokdo. The following islands were designated as islands of vegetation areas: Sochido, Daechido, Jundo, Buado, Baraedo and Muhagdo. These islands are formed with specific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coast and their conservation value is high to be uninhabited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