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내 거주자 간 학대에 관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고자 서구 국가의 문헌을 리뷰한 문헌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PubMed, Web of Science에 등재된 논문과 Google Scholar에서 검색된 거주자 간 학대에 대한 논문을선별하여 고찰하였다. 총 26편의 논문을 리뷰한 결과, 거주자 간 학대의 개념적 정의는 문헌간 통일되지 못하고 있었다. 거주자 간 학대의 유형으로는 대체적으로 신체, 언어, 성적 학대를 포함하고 있었다. 소수의 문헌에서 관련 이론이나 모델을 기반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거주자 간 학대를 설명하는 관점으로 표준적인 패러다임, 인간중심돌봄 패러다임, 치매노인의 욕구주도 행동 모델, 사회생태모델, 사회학습이론이 사용되었다. 또한 거주자 간 학대는 기존 문헌에 포함된 사고 및 사망사건 또는 표준화된 학대 측정도구를 통해 측정되었으나, 표준화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은 미흡했다. 거주자 간 학대의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목격률 통계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거주자 간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위자, 피해자, 시설, 상황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문헌 리뷰 결과를 토대로 하여 거주자 간 학대실태조사 실시, 거주자 간 학대에 대한 종사자 교육, 관련 이론을 적용한 개입방법 적용, 시설의 물리적 환경의 변화, 고위험 집단에 대한 보호 및 예방 체계 구축 등의 정책적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reviews studies on RRA in nursing facilities published in Western countries to provide knowledge base for RRA. PubMed,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were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from Jan. 2000 to Sep. 2020. A total of 26 studies were reviewed. The definitions of RRA were inconsistent across the included studies. Types of RRA generally included physical, verbal, and sexual abuse. In terms of theoretical frameworks, one-third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specific theories or models including standard paradigm, person-centered paradigm, need-driven dementia-compromised behavior model, socio-ecological model, and social learning theory. Also, to measure RRA, some studies used standardized measurement tools, but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inadequate. The rate of observing RRA was higher than the prevalence rate. Factors that influence RRA were categorized into initiator, victim, facility,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policy and intervention to prevent RRA as follows: conducting surveys of RRA, educating nursing home workers how to deal with RRA, applying related theories or models to interventions, making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s in facilities, and establishing a pro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for high-risk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