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하형양의 인과응보 사상을 개괄해보면, 기본적으로는 숭유억불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사상의 내용이나 혹은 논증의 근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부분 유가의 개념을 인용하여 불교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즉 하형양은 유가의 전통적인 선악 인과응보 관념에는 동의하지만, 불교의 윤회 인과응보 이론에 대해서는 그것의 현실성에 대하여 부정하는 입장을 취한다. 즉 하형양은 인과응보의 문제에 있어서 유가와 불교의 이론에 대하여 취사선택을 분명하게 했던 것이다. 하형양의 숭유억불의 사상 형태는 실제로 하형양의 인과응보 사상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 하형양의 불교의 인과응보설에 대한 반박의 이론노선에서 유가사상을 끌어들여 불교의 인과응보설 문제점을 밝힌 것은, 하형양의 인과응보 사상의 백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객관적인 경험 사례를 들어서 인과응보설의 허구성을 드러낸 것은 그다지 이상적인 모습이라고 볼 수 없는데, 그것은 경험적 지식은 그 자체로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감각기관과 경험을 초월한 인과응보 이론에 대한 검증이 불가능했던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If we take an overview of He heng yang's thought of retributive justice, we can find the tendency of'respect Confucianism & Repression Buddhism'. In terms of the content of ideas or the basis for argumentation, it can be found that most of the arguments of Buddhism are refuted by citing the concept of Confucianism. In other words, He heng yang agrees with the Confucian traditional notion of good and evil retributive justice. However, he takes a stance against Buddhism's theory of samsara and retributive justice. In other words, He cheng tian maintained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in the matter of causal retribution. He heng yang's thought of Respect Confucianism & Repression Buddhism is an important feature of his thought of retributive justice. He cheng tian revealed the problem of Buddhism's retributive justice by choosing the Confucianism idea in refuting Buddhism's retributive justice. This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He cheng tian's thought of retributive justice.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in revealing the fiction of retributive justice by taking an objective case of experience.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empirical knowledge in itself has limitations, so it was impossible to test the theory of retributive justice that transcends sensory organs and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