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재 그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는 음악의 3D Audio 제작을 하기 위한 청음훈련의 필요성에 대한 것이다. 음악의 스테레오나 서라운드는 물론 3D Audio 제작을 위해서는 먼저 듣는 능력과 소양이 갖춰져야 하는데 문제는 음악과 사운드에 대한 개인의 청취 성향과 특성이 다양하고 주관성이 강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제작에 있어서의 음악적,음향적 기준점이 필요함과 동시에 청취에 대한 객관적 능력향상이 요구 된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지금 까지 접하지 못한 3D사운드(Immersive sound)는 제작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기존의 오디오 포맷에서 듣지 못한 방향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대한 해석이나 의미부여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피커를 통한 3차원적인 소리를 듣고 판별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번 연구에서 음악전공자(작곡,연주)와 사운드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3D Audio 포맷(Immersive sound)으로 믹싱된 오케스트라 음악을 3D 스피커 시스템으로 재생하여 들려주고 리스닝 테스트를 하여 그들이 3D 사운드를 듣는 특성과 선호도에 대해 파악하였다. 반원구 형태의 모든 곳에서 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한 테스트이며 물리적으로 어떻게 들리는지 알아보았다. 설문 테스트 결과 음악전공자와 사운드엔지니어 간에 3D 사운드 특성에 대한 인지 능력이 다르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3D 사운드에서 소리방향의 인지를 위한 청음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need for listening training to produce 3D audio of music, which is currently in increasing demand. In addition to stereo and surroundings of music, 3D audio production requires listening skills and knowledge, but the problem is that individuals have diverse tendency about listening music and music sound . Moreover, the 3D sound that has not been encountered so far is not easy for the producer to interpret or give meaning to the sound from the direction not heard in the existing audio format.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ot easy to hear and discriminate three-dimensional sounds through speakers. In this study, music majors (composition, performance) and sound engineers were asked to listen to 3D audio-formatted orchestra music with a 3D speaker system and listen tes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listening to 3D sound. It is a test of sound coming from everywhere in the semi-circular form and we looked at how it sounds physically. Tes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r lack of cognitive skills in 3D sound between music majors and sound engineers, which led to the conclusion that listening training for 3D sound wa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