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기업에 초점을 맞추었던 사회적 책임이 최근에는 소비자도 이를 인식하고 실천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경제적, 사회문화적, 시민적, 환경적 책임)이 사회적 자본(구조적, 인지적, 관계적 자본)과 지속적 협력소비로 이어지는 긍정적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시도 되었다. 즉,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사회적 자본과 지속적 협력소비를 증가시키는 원인변수임을 확인하고, 사회적 자본은 지속적 협력소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리마켓에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플리마켓은 단순히 소비행위가 이뤄지는 장소의 개념에서 벗어나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사회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으며, 플리마켓 참여자들은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적 존재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제적 책임은 구조적 자본과 정(+)의 영향관계, 사회문화적 책임은 인지적 및 관계적 자본과의 정(+)의 영향관계, 시민적 책임은 구조적 및 관계적 자본과의 정(+)의 영향관계, 환경적 책임은 관계적 및 구조적 자본과의 정(+)의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문화적 책임과 시민적 책임은 협력소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지적 자본과 관계적 자본은 협력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 from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economic, sociocultural, civi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o social capital(structural, cognitive, relational capital) and continuous collaborative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set a group of research hypotheses and built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survey. For its purpos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a flea market as flea markets had formed a community beyond their old concept of place where simple consumption behavior took place and had social meanings granted to them with participants in flea markets developing into collaborating beings for common goal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conomic responsibility had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 with structural capital; sociocultural responsibility had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 with 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 civil responsibility had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 with structural and relational capit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d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 with relational and structural capital; secondly, both sociocultural and civil responsibility facilitated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finally, both 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llaborative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