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들어 한국 교회 성평등을 구현함에 있어 설교 등의 명시적 가르침 외에도 가부장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교회의 문화적 관습에 대한 시정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다. 문화적 관습이 포함되는 내재적 또는 잠재적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은 명시적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교육기관에서의 경험과 교육 환경을 통해 그 기관 또는 공동체의 가치관이 학습자들에게 내재화되는 것을 뜻한다. 이는 교사가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의도하지 않을지라도 교육과정 전반에 스며들어 있는 보상체계나 규칙 등에 의해 중요한 학습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연구자는 2020년 서울 YWCA와 함께 Elliot Eisner의 교육과정 이론을 통하여 한국 교회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으며, 본 고에서는 그 중 내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여 이것이 교회 여성들에게 부여하는 삶의 자리를 분석하였다. 내재적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교회 여성의 삶의 자리는 다음과 같다. 1) 직분 구조: 보조적 존재, 2) 건축물(교실)과 부서 명칭: 공동체의 이름 없는 구성원 3) 교회 건축물의 구조와 교사의 성별 비율: 주양육자. 그리고 이와 같은 현실에서 여성들이 주체적인 신앙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1) 질문하기: 보조적 존재를 벗어난 주체로서의 여성 정체성 형성하기 2) 여성주의 미드라쉬: 공동체 안에서 여성의 이름 되찾기 3) 공동체가 함께 드리는 양육의 예전: 공동체 전체가 가정과 교회 공동체의 주양육자가 되는 전환으로 제안하였다.


Recently, in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es, in addition to explicit teachings such as preaching, the necessity of correcting the cultural customs of the patriarchal and male-centered church has been greatly raised. The hidden curriculum means that, unlike explicit curriculum, the values ​​of that institution or community are internalized to learners through the experie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institution. This is even more important because it has an important learning effect due to the reward system or rules that permeate the entire curriculum, even if the teacher does not clearly recognize it or does not inten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Elliot Eisner's curriculum theory with the Seoul YWCA in 2020. In this paper, the study of the hidden curriculum is deepened and the place of life that this gives to women in the church is analyzed. The positions of Korean church women's live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dden curriculum are as follows. 1) Structure of Church duties: auxiliary existence 2) Name of building (classroom) and department: Unnamed member of community 3) Structure of church building and gender ratio of teacher: Primary caregiver. And in this reality, the educational method for women to form their identity as subjective believers is 1) questioning: forming a feminine identity as a subject 2) Womanist midrash: Reclaiming women's names in the community 3) The ritual of nurturing provided by the community: It was proposed as a transformation in which the whole community becomes the main nurturer of the family and the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