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간 관계가 전공계열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2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지도유형은 ‘학문 및 정서적 지지’와 ‘억압 및 착취’ 유형, 자연공학계열의 지도유형은 ‘학문적 지지’, ‘정서적 지지’, 그리고 ‘억압 및 착취’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모두 ‘억압 및 착취’ 유형이 대학원생의 학업 중단 의사를 강화하고, 자연공학계열에서는 ‘학문적 지지’가 학업 중단 의사를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 자연공학계열에서 대학원생이 연구실 등에서 공동생활을 할 경우 학업중단 의사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graduate advisors’ advising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graduate students’ persistence and drop out by the field of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graduat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Korean higher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advising typ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sist of ‘academic and affective support’ an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nd those in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support,’ ‘affective support,’ an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In both fields of study,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ended to increase the intent to drop out, bu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support’ tended to reduce the intent to drop out. In add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ir graduate school life with other colleagues in a shared place such as a laboratory tended to show the low level of intent to drop ou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graduat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