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패널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구성요인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후, 개인 및 환경 변인이 학습된 무기력 유형 분류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탐색하고, 무기력 유형에 따라 인지, 정서, 행동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학습된 무기력의 구성요인인 통제신념 결여,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 능동수행 결여를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의욕 집단(23.7%), 무기력 평균 집단(47.9%), 무기력 상 집단(24.7%), 무기력 상-동기결여 집단(3.7%)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성별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양육태도 중 자율성지지, 강요가 학습된 무기력의 잠재프로파일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부모의 강요가 낮을수록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낮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습된 무기력 유형에 따라 인지, 정서, 행동적인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기력을 높게 경험하는 집단이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보이며, 주의집중 어려움을 크게 경험하고,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며,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과 교사와 진로에 대한 대화 빈도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된 무기력 해소를 위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arned helplessness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whether individual and social variables predict profile membership.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factors of learned helplessness: loss of control, loss of motivation, loss of positive emotion, loss of performance. First, results yielded four latent profiles, characterized as Motivated group (23.7%), Average Helplessness group (47.9%), High Helplessness group (24.7%), and High Helplessness - Low Motivation group (3.7%). Second, several factors predicted membership in the latent groups. Students with higher efficacy in learning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a lower level of helplessness group. And, the higher autonomy supportive the parenting attitudes are, the more likely students are to belong to a lower level of helplessness group.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profiles for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Students who were on high helplessness - low motivation profile showed the lowest levels of achievement and attention, learning time and frequency about career path with teacher.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helplessness grounded by four distinct latent profiles. Implications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learned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