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학교 동시 텍스트를 학습독자에게 제시함에 있어 학습독자의 수준에 적절한 문학 작품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직시 표현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동시 텍스트에서 직시 표현은 맥락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므로 투사 과정을 통해 시 감상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지만, 초등 수준의 학습독자에게는 직시 표현이 인지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지점은 직시 표현을 기준으로 동시 텍스트의 수준을 구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 연구에서는 직시 표현을 인칭 직시, 장소 직시, 시간 직시로 나누어 동시 텍스트의 수준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동시 텍스트의 제시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인칭 직시, 장소 직시, 시간 직시의 사용 여부와 그 구분의 양상은 학습독자에게 해석의 인지 부담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초등 수준의 학습독자에게 동시 텍스트의 제시 수준을 판단함에 있어 직시 표현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을지라도 하나의 기준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deixis expression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literary work i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learner in presenting children’s poem to learners. Since deixis expression in children’s poem can be understood through context, the appreciation of poetry can be enriched through the projection process, but deixis expression can act as a cognitive burden for elementary-level learners. This point implies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ting the level of children’s poem on the basis of deixis expression. In this study, the level of children's poem was classified by dividing the deixis expression into person deixis, place deixis, and time deixis. Through this, the appropriateness of providing children's poems was judged. The use of person deixis, place deixis, and time deixis, and the pattern of their distinction, was judged to give the learner a cognitive burden of interpretation. Thus, in determining the level of provision of children's poems to elementary-level learners, deixis expression may not be an absolute criterion, but it may serve as another criter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