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정신분석의 이론과 개념은 인문·사회과학의 제 영역을 넘어 우리의 일상적 사유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중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무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가부장적 가족 모델 속에서 해명하려는 시도로서, 정신분석가들에 의해 흔히 무의식의 보편적 구조로 제시된다. 이에 맞서, 들뢰즈와 과타리는 오이디푸스를 유형학적으로 탐구하는데, 이는 사회체의 세 유형(미개, 야만, 문명)에 상응하는 오이디푸스의 세 유형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문명 사회체에만 유효한 것임을 밝히는 한편, 그것이 이 사회체의 재생산 구조에 기여하고 있음을 고발한다. 더 나아가, 그들은 무의식에 대한 대안적 탐구로 분열분석을 제시하는데, 이는 무의식을 역사적·사회적 현실과 직접 결부시키는 데서 성립한다. 이른바 ‘가족 극장’을 넘어서는 다른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분열분석은 ‘무의식의 탈-오이디푸스화’라는 정신분석의 내적 전환을 촉구한다.


In today’s world, the theories and concepts of psychoanalysis deeply influence not only a whole ran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t also our everyday thoughts. Among others, the Oedipus complex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formation of human unconscious 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being considered by psychoanalysts as a universal structure of it. In response, Deleuze and Guattari typologically investigate the Oedipus complex, presenting three types of Oedipu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society: Savages, Barbarians, and Civilized Men. Revealing that psychoanalytical Oedipus is solely valid for Civilized Men, they accuse its contribution to the reproduction system of this society. In addition, they propose schizoanalysis as an alternative investigation into human unconscious, directly relating it with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With new possibilities of analysis surpassing ‘familial theater’, schizoanalysis urges an internal conversion of psychoanalysis, which means ‘dissolution of Oedipus in human unconsci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