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류왕 후기(629~642) 고구려 대외정책의 주요 고려 대상은 당과 신라였다. 대외 정책의 주요 변곡점은 629년 낭비성 전투와 639년 칠중성 전투였다. 두 전투에서 고구려는 신라에게 패배하였다. 고구려-신라 관계의 변화는 고구려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고구려는 대당관계의 변화를 모색하며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즉 고구려-신라 관계가 고구려-당 관계에 변화를 가져다 주었던 것이다. 여기에 국제정세 변동과 당 내부 정치상황이 고구려-당 관계를 규정짓는 요소였다. 영류왕은 당의 요구를 수용하여 640년 태자를 당에 입조시키고 지배층 자제의 국학 입학을 요청하였다. 그 대신 고구려의 안전 보장을 요구하였다. 이는 정치세력의 갈등을 유발하였다. 연개소문으로 대표되는 정치세력은 영류왕의 대외정책이 독자적 세력권의 회복을 부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게다가 고구려와 신라가 동등한 제후국으로 대우받는다고 인식하였다. 결국 연개소문은 정변을 일으켰다. 대외정책에 대한 입장 차이가 정변이 일어난 원인 중 하나였던 것이다.


In the end of King Yeongryu’s reign(629~642), the primary concerns of Goguryeo’s foreign policy were Tang and Silla. A turning point was Goguryeo’s defeats by Silla in the Battle of Nangbi fortress in 629 and in the Battle of Chiljung fortress in 638. These incidents caused foreign policy change of Goguryeo’s king who sought a new relationship with the Tang Dynas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Tang was mainly influenced by changes in international situations of East Asia and by internal political affairs in China. At the request of Chinese emperor, King Yeongryu of Goguryeo sent his crown prince to the imperial court in 640. He also asked to allow sons of ruling aristocrats to enter the Imperial Academy(Guoxue). Instead, the king sought to ensure the safety of Goguryeo. His new foreign policy caused political conflicts: Yeongaesomoon and his followers perceived the king’s foreign policy as a threat which denied the restoration of their country’s power and authority. Moreover, it was considered as treating Goguryeo and Silla as equal vassal states. Therefore, one of the reasons of Yeongaesomoon’s coup was his opposition to the king’s foreig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