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이 연구는 고등학생 읽기부진 학습자 진단 도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추론적 이해 능력을 구성하는 6개의 하위 구인들을 설정하고 낮은 능력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검사 문항 32개를 개발하였다. SPSS ver. 26과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ngoff 방식을 활용하여 기준점수를 설정하였다. 결과:고등학교 1학년 3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1)신뢰도 .858, 2)난도 –1.922(.717), 3)변별도 1.434(.544)로 나타났다. 검사정보곡선에서는 능력 수준이 -2일 때 검사 정보가 가장 높고 능력 수준 1 이상에서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가 읽기부진 학습자의 읽기 이해 능력 측정이라는 검사 목적에 부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읽기부진 학습자에게 보다 적합한 읽기부진 진단도구들의 개발을 기대한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diagnostic tool for learners with poor reading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Six sub-categories that compose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were set, and 32 test items suitable for learners with low ability level were developed. SPSS ver. 26 and R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and the base score was set using the Angoff method. Results:As a result of 301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1) reliability was .858, 2) difficulty -1.922 (.717), and 3) discrimination was 1.434 (.544). In the test information curve, test information was highest when the competency level was -2,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decreased sharply when the competency level 1 and above. Conclusion:It can be seen that the tes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itable for the test purpose of measur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learners with poor reading. Based on this, we expect to develop tools for diagnosing poor reading that are more suitable for learners with po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