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생들 개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요인으로 절차적 효용에 주목하였고, 이를 참여형 학급자치활동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은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차이 분석(t검증)을 통해 학급자치활동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절차적 효용을 경험할 수 있는 학급자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행복감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특성 변인에서는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교특성 변인은 교사관계, 친구관계, 소외감 및 위협관련 친구스트레스 등 모든 변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계 검증을 보완하기 위해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절차적 효용을 담보하는 학급회의방식은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절차적 효용을 담보한 학급자치활동이 기존의 학생자치활동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올바른 민주시민교육을 견인하면서도 동시에 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힌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ies reflecting procedural utility on the happiness of 6th graders. In this study, both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composed of 25 students each and the former group was programmed. A Happiness Test was used as pretest and posttest to measure the sense of happiness of the subject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experiment group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o complement statistical verific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class self-governing method reflecting the procedural utility had an effect on the happiness felt by students.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correlation regarding their happiness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theoretical ideas and foundation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garding students and their education levels for determining how democratic citizenship can improve student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