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재결합 이후 아동학대 재발생 현상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정보를 활용하여, 2015년 초부터 2017년 말까지 가정외보호 후 가족과 재결합 한 아동 2,879명을 2019년 7월까지 추적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사건사 분석 방법 중 생명표 분석과 Cox 비례해저드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3.79%의 아동이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를 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재학대 발생 가능성은 가족재결합 이후 1개월 이내가 가장 높았고 전체 재학대 사례의 95.41%가 6개월 이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행위자 부모의 알코올 남용 및 양육기술 부족,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 및 단기의 가정외보호 기간은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 발생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가족재결합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Using administrative data entered in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2,879 children reunited with their families after being protected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were followed up until July 15, 2019. An event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life table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currence of maltreatment occurred in 3.79% of all cases.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maltreatment was highest within 1 month after family reunification, and 95.41% of all recurrence of maltreatment occurred within the 6 months.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parental alcohol problem, lack of parenting skills, family economic difficulty, and shorter lengths of stay in out-of-home placement were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family reunific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