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 소속된 유아특수교사 518명이다. 연구 도구는 2019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하여 개발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측정 도구』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행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 인식 차이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실행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중요도-실천도 분석 결과, ‘지속유지 역량’ 7개 능력, ‘과잉노력 지양 역량’ 1개 능력, ‘낮은 우선순위 역량’ 8개 능력, ‘집중노력 필요 역량’ 2개 능력, ‘어느 사분면에도 속하지 않는 역량’ 7개 능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경력, 학력, 직급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필요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 제시 및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play support competencies that ar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 of 518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belonging to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cross the countr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and T-test and F-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matrix analysis between play support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cased that seven abilities as continuous maintenance competencies, one ability for avoid to over-effort competencies, eight abilities of low priority competencies, two abilities that require concentrated effort competencies. and seven abilities that did not belong to any quadra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of play support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Third, the influence variables consisted of gender,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pos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basic research for suggesting directions and preparing plans to strengthen the play support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which are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