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는 신학적 논적이 많기로 유명한 네덜란드 개혁파 신학자이다. 카이퍼가 신학적 논적이 많았던 이유는 그의 사상이 그 당시 19-20세기의 인본주의 사상과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웠기 때문이며, 그 과정 가운데 전통적인 신학 관점과는 다소 결이 다른 관점들을 취했기 때문이다. 결이 다른 관점들 속에서도 칭의를 영원으로부터 보는 관점은 많은 사람들의 우려를 낳았던 관점이다. 본 연구는 그간 해왔던 바대로 카이퍼를 소위 ‘영원 칭의론자’로 단순히 규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사안들을 다각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첫째, 영원으로부터 칭의(혹은 영원 칭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둘째, 카이퍼 당시의 신학적 맥락을 살펴야 한다. 그 이유는 시대적 맥락과 동떨어진 신학 사상은 없기 때문이다. 셋째, 카이퍼가 전개했던 칭의론의 다양한 국면들에 대해 살필 필요가 있다. 카이퍼는 칭의를 단순하게 보지 않았고 오히려 다양한 신학 사상들이 얽히고설켜 있는 다층국면적 사건으로 이해했다. 넷째, 카이퍼의 칭의론에서 믿음의 본질과 역할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야 한다. 만약 영원으로부터의 칭의 개념이 시간과 상관없이 영원에서 칭의가 완료되는 개념이라면 이런 배타적인 영원 칭의론에서는 믿음의 역할이 전무 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카이퍼의 칭의론에 나타난 실천적 장단점을 고찰해야 한다. 신학은 건조하게 머리 속에서만 사변적으로 남아서는 안 되며 오히려 삶의 구석구석에서 삶의 구체적인 행동을 이끌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통해 카이퍼의 칭의론이 ‘배타적인’ 영원 칭의론이 아니라는 사실이 규명될 것이며, 그럼에도 카이퍼의 칭의론 내부적으로 다양한 신학적 긴장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드러나게 될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와 그의 영원으로부터의 칭의론을 보다 더 객관적으로 분석·평가·적용함을 통해 카이퍼의 칭의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표이다.


Abraham Kuyper(1837-1920) is Reformed Dutch theologian who has been famed for having a lot of theological opponents. The reason why Kuyper had many enemies is because his theological standpoints and the human-centered standpoints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ere sharply opposed each other, and in this conflict course, he took theological viewpoints that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Among his different viewpoints, the perspective on ‘justification from the eternity’ has caused many theological worries so fa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Kuyper is a so-called defender for justification from the eternity. To answer this, several dimensions need to be scrutinized. First,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from the eternity(or eternal justification) needs to be accurately identif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theological context of Kuyper’s time, since there is no theological viewpoint totally apart from the contemporary context. Third, a multilayer dimension of Kuyper’s doctrine of justification needs to be meticulously considered. Kuyper did not look at justification in a single dimension, but rather see it in complex and multilayer dimensions which are closely interwined with diverse related theological subjects. Forth, it is necessary to grasp Kuper’s understanding on the nature and role of faith. Fifth, practical strengths and weaknesses in Kuyper’s thought need to be carefully contemplated, inasmuch as theology should not remain its tenets speculatively in a human head, but rather should lead them to do something concretely in one’s whole life. Through this study, both of that Kuyper did not hold an ‘exclusive’ doctrine of eternal justification and that there were several theological tensions in Kuyper’s thought will be establish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seek a right and sound understanding on Kuper’s theology through objectively analyzing, evaluating, and applying Kuyper’s perspectives on jus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