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이하 센터)에 근무하는 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할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로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인평생교육과 센터 체제가 교육기능을 중심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수학교와 센터 양쪽의 경험이 풍부한 특수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기 위해 단일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심층면담 자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의 주 이용자는 중도의 발달장애성인이며 그들의 교육적 요구는 학령기 때에 비해 크게 달라진 게 없는 반면, 그들과 부모의 생애주기 변화로 인한 차이점들을 경험하였다. 둘째, 센터의 교육은 이용자 수준과 특성을 반영해 융통성있게 제공하고 있는데,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 어려움으로는 센터의 정체성 혼란, 교육과정의 부재, 특수교육 비전공 교육담당자의 교육역량 부족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향후 발달장애인평생교육 전달체제는 개인중심 서비스 체제가 되길 희망하며, 이때 센터는 교육의 허브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센터 내 다양한 자격을 가진 동료들과의 협업 속에서 특수교사가 센터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다섯째, 특수교육 전공자의 새로운 진로로서 센터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경험과 인식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주요결과의 시사점들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 special teacher, one of the field workers of the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nter).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orts to ultimately improve the lifelong education and center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centering on educational functions. A singl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special teacher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both special schools and center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ocusing on content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users of the center are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hile their educational needs have not changed much compared to the school-age period, they and their parents showed differences due to changes in the life cycles. Second, the education of the center reflects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provides flexibility. The difficulties, the participant recognized, in providing quality education are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the center, the absence of a curriculum, and the lack of education competency of the non-special education personnel. Third, it is hoped that the delivery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become an individual-centered service system, and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for the center to act as a hub for education. Fourth, in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with various qualifications in the center, special teachers became aware of the expertise that can contribute to the center. Fifth, the special education major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bout the center as a new career path. Based on this, discussions on the implications of the main results were provid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