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교 경제 교육의 현황과 차이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교육 격차의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특성화고와 예술 계열 특목고를 제외한 전국 고등학교를 전수조사하고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첫째, 전체 고등학교 중 2019학년도 현재 2학년에 경제 과목이 개설된 학교는 27.4%이다. 둘째, 로짓 분석 결과 경제를 가르칠 교사의 존재가 설명변수 중 경제 개설에 미치는 양(+)의 한계 효과가 가장 크다. 이는 과목 개설에 공급측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경제 교사의 양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경제 교육의 차이가 지역별, 학교 규모별, 소득별, 성별로존재함이 확인된다. 서울 및 대도시 소재의 학교로 규모가 클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 개설 가능성이 높으며, 여고인 경우 개설 가능성이 낮다.


This paper studies the existence and the cause of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economic education. The main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as in 2019, 27.4% of the high schools provide the economics subject. Second, the marginal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the provision of the subject is biggest for the existence of the teachers who can teach economics. Third, the probability of the provision of the economics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 the school is located in, the size of the school, the household income level of the area, and the gender composition of th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