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구강관리 시 필요한 임상실무지침서와 구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사회적 기업 소속의 일부 치과위생사가 방문하여 입소노인의 구강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J도에 소재한 5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23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지식수준은 치주병의 치료, 치주병과 노화, 경관영양시행과 타액분비, 생리식염액과 구강건조증에 대한 지식부분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구강관리에 대한 지식(p<.01)과 구강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낄수록(p<.001) 구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구강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통해 입소노인의 구강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므로 요양보호사에게 실질적인 구강보건교육이 될 수 있는 임상실무지침서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구강보건증진을 위해 예방과 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훈련받은 구강보건전문인력의 배치가 필요하기에 국가적으로 보건의료정책적인 제도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necessary for the oral management for elderlies in care facilities and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oral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t collected the data from 236 care workers in 5 elderly care facilities in J Province where dental hygienists of Social Enterprise had performed the oral management for elderlies and performed it by using SPSS 19.0.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care workers’ level of knowledge of the oral management for the elderlies was lacking in periodontal disease’s treatment, periodontal disease and aging, intubation feeding and saliva production, and the physiological salt solution and xerostomia, and the more they felt the knowledges(p<.01) and educations(p<.001) of the oral management were necessary, the higher awareness of the oral managemen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knowledge and the awareness about the oral management, which care workers are recognizing, have important role for the oral management of their caring elderlies, so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the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which can be practical oral health educations to the care workers, are needed, and as it is necessary to arrange oral health specialists systematically trained about the prevention and the education for improving the oral health, support for health care policy systems should be provided nation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