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학교 내 텍스트’에 한정해 ‘소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차원, 교과서 차원, 교수 설계 차원’의 접근 가능한 확정적인 자료들을 대상으로 ‘이북의 어린이들은 어떠한 텍스트를 접하는가’의 문제를 ‘학교 내 문식성’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설계 차원에서 나타난 이북 초등 국어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주된 주제 의식은 ‘애국주의, 외세 배격, 노동 찬양’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남에서 접근 가능한 이북의 소학교 국어 1학년부터 3학년에서 제시된 전체 31개의 텍스트 중 일상적인 텍스트는 10개, 남북 공통으로 널리 알려진 텍스트는 5개로 그 비중이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기본적인 학교 교육을 통해 접하는 텍스트가 이리 확연히 다르다고 할 때, 이남과 이북의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적 문식성의 현실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초등국어교육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현실태로서의 이남과 이북의 문화적 문식성의 차이, 그 간극이 통일시대의 잠재적 부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과연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의 과정을 위한 예비 단계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elementary school-level “text in school” accessible definitive materials such as those at the to ascertain the types of texts children in North Korea encounter. from the perspective of “text in school.” These materials include those at the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design-levels. The thematic analysis of terms in the North’s elementary school textbook, which appeared in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 design, resulted in “patriotism, exclusion of foreign powers, and praise of labor.” In addition, of the total 31 texts presented from grades 1 to 3 of the North’s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hat are accessible in the South, there were 10 casual texts and 5 widely known texts appearing in material from both countries, indicating that the proportion was not high. When the text that is encountered through basic school education is so distinctly different, efforts need to be made to clearly identify and understand the other’s cultural literacy in order to live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reliminary step for an in-depth exploration of programs to ensure differences in cultural literacy between the two Koreas does not act as a potential burden in the unified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