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어과 교사 교육과 관련된 공식적, 비공식적 담론을 검토하고,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좋은 국어과 교사의 상(像)에 대한 주제어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국어과 교사 교육의 목표를 탐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첫째, 초·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과의 보편성 및 교사 교육 고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담론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 국어과 교사 교육의 문제의식에 부합하는 ‘활동’의 의미를 재개념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교사의 자질을 자기조절학습 역량으로 규정하고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차원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교사의 신념과 사전 경험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셋째, 국어과 교사의 역할 모델을 다양하게 상정할 수 있어야 한다. 국어과 교사 교육에 심리학적 검사 도구를 활용하는 것은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prior works on teach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and conducts a keyword network analysis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teachers in this field. It then derives implications for exploring objectives of teacher education, which are as follows: First, discourse identity should be secured by considering both the universality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argeting K-12 learner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acher education; the meaning of “activity” should also be reconceptualized. Second, teacher qualification should be defined as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e, and i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 balanced way. For this purpose,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on the teacher's belief and prior experience is emphasized. Thir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ssume various teacher role models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ing in teacher education is one method in this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