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해 여성 시간제 노동의 실태와 일자리 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참여한 여성 시간제 노동자들은 상대적으로 학력 수준이 높고, 무기계약직의 비율과 노조 가입률도 높아 자발적 차원에서 생애주기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시간제에 종사하면서 전일제와 동등한 수준의 보호를 받으리라 예측되었다. 그러나 분석 결과, 고용안정성과 사회보험 가입 수준은 시간제 노동자 평균보다 높으나, 시간당 임금 수준, 경력발전과 승진 기회, 전일제로의 전환 가능성이 모두 낮았으며,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표본집단의 경우, 노동조건 및 사회보호 수준은 중간 정도이면서 비자발적 특성을 갖는 불안정한(precarious) 시간제 노동자 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학력수준, 안정적 고용형태와 노조 가입률이 높은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시간제 일자리가 좋은 질과 나쁜 질의 일자리로 뚜렷하게 이중화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임금 페널티와 경력 손상을 겪지 않으면서 생애주기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양질의 시간제 노동이 여전히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서 정책적 개입을 요구한다.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female part-time work in South Korea. Although the statistical sample of this study has a relatively high education level, and high union affiliation rate, the quality of their part-time work is proven to be mixed. The level of job security and social protection is relatively high, but both the wage level, the opportunities for promotion, and the possibilities to switch into full time jobs are low. H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type of their part time work can be classified as ‘precarious’. In terms of the working condition and social protection, the level of their work is mixed. Yet a vast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ork rather involuntarily as part-timers, as the results show that they have to accept the job position albeit the severe wage penalty, and despite the fact that many of them wish to work longer hours. In sum, the government policy aimed at promoting women’s labor market integration by allowing them to use part time work for work-family balance has largely fa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