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과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가 갖는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로는 통계청의『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부모 모두와 함께 거주하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18세의 청소년이 있는 가구 응답 1,68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은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 모형에서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어머니 모형에서는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아버지 모형에서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 모형에서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즉,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개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인 요인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임노동 여부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인터넷게임 중독 예방과 대책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on youth Internet game tim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gross household income) in relation to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The analysis used the Statistics Korea’s “2019 Life Time Survey” and surveyed 1,686 household responses with teenagers aged 13 to 18 living with both parents and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media usage time of each father and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et game time of teenagers. Second, in the father model, the total household income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and in the mother model, the mother’s education level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Internet game time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eir mother’s personal factors had a greater impact than their father’s, such as her level of education and whether she worked or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olicy measures for preventing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teenager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