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이 마음껏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한다 해도 물은 언제나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편리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수질 악화와 물 부족 사태 같은 문제들이 불거지면서 강이나 호수 그리고 샘물이나 지하수 같은 천연자원에 대한 윤리적 접근의 필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물의 위기에 대한 우리의 윤리적 관심, 그리고 물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와 관련된 적절한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물 사용 및 관리 형태에 대한 평가와 인간 활동이 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윤리적 평가가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는 물을 대하는 인간 행위에 대한 규범적 개념 마련의 필요성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일들은 모두 ‘물윤리’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 물윤리란 물의 위기와 관련된 인간 행위에 초점을 맞춘 실천적 추론에 관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우리가 도전해야 할 물윤리의 핵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하나는 생태학적으로 물이 계속해서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어떤 누군가에 의해 물이 특별히 남용되지 않고 공평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물과 관련된 생태학적 안정성 파괴에 따라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종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며, 물의 불공정한 사용에 따라 다른 어느 누군가는 실질적으로 삶의 위기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자원에 대한 오용 및 남용과 그에 따른 갈등이 증폭되면서 이를 극복할 물윤리 이론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리고 하천 생태계나 수생 생태계의 안정성도 함께 고려할 물윤리 기초 이론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논문은 물의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고 사회적으로 정당한 물 사용 및 관리 체계를 확보할 대표적 이론으로 안젤라 칼호프의 ‘물 협력 이론’을 제시한다. 물 협력 이론을 통해 이 논문은 올바른 물 사용 및 관리를 위한 실천적 추론에 집중한다. 상호 협력의 윤리를 합리적 대안으로 주장하면서 물에 대한 인간의 오용과 남용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우리의 윤리적 태도 변화를 촉구한다. 물윤리의 기초 확립을 시도하는 이 논문은 이러한 이론적 배경 제시와 함께 물윤리의 기초 개념을 정립하는 일에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환경윤리의 한 분야로 물윤리가 정착되도록 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Water was always considered a convenient resource for human beings. However, the need for ethical access to natural resources such as rivers, lakes and springs and groundwater is becoming recognized a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water scarcity have emerged. The need for appropriate strategies related to our ethical attention in the water crisis and our attitude toward water treatment have been raised. In particular, an evaluation of the forms of water use and management and ethical assessment of the negative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water is required, and this demand has prompted the need to develop a normative concept of human behavior in dealing with water. These things are being carried out under the name of 'water ethics'. Water ethics is a study of practical reasoning that focuses on human behavior related to the water crisis. There are two main problems of water ethics that we need to challenge. One is the question of whether water can continue to be ecologically clean, and the other is whether water can be used fairly and not specifically abused by someone. This is because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tability associated with water can threaten the survival of many species, including humans, and because of the unfair use of water, anyone could face a real-life crisis. As misuse and abuse of water resources and subsequent conflicts escalate, the need to prepare a theory of ethics to overcome them is raised. There is a need to come up with a basic theory of ethics that will also consider the stability of the river ecosystem or aquatic ecosystem. This paper presents Angela Kallhoff's 'theory of water cooperation' as a model theory to promote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of water and to secure a socially legitimate water use and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focuses on practical reasoning for correct water use and management. Claiming the ethics of mutual cooperation as a reasonable alternative, we urge changes in our ethical attitudes in a way that prevents human misuse and abuse of water. This paper, which attemp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water ethics, focuses on presenting this theoretical background of water ethics and establishing the basic concept of water ethics. And through this, this paper intends to help establish water ethics as a field of environmental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