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KOSPI 200 구성종목 변경 전후로 기업의 공시유인 변화와 이에 따른 공시행태 변화를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 KOSPI 200 신규 편입・편출기업과 1:1 대응표본을 대상으로 편입 및 편출사건 전후 표본을 구성하였으며, 편입은 1,139개, 편출은 1,171개의 기업-연도(firm-year) 표본을 사용하였다. 또한, Schoenfeld(2017)이 제시한 이중차분법을 사용하여 지수편입 기준인 시가총액이 야기할 수 있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와 공시규정 변경에 의한 연도별 공시빈도 차이를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신규 편입 전후 자율공시와 공정공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신규 편입 직전 연도에는 매출액, 수익성, 자산규모, 시가총액의 유의한 증가에 공시빈도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편출의 경우, 편출사건을 기점으로 자율공시와 공정공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일 분석 기간에 편출기업의 수익성과, 시가총액, 자산규모가 유의하게 변하지 않았다는 분석 결과를 고려하면, 해당 결과는 편출 전후 자산규모나 수익성, 시가총액 등의 기업특성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닌 편출로 인한 정보수요와 공시유인의 감소로 공시감소행태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정보비대칭 감소와 시장효율성, 투자자보호 측면에서 더욱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기업의 자율공시 및 공정공시 행태가 지수편입 및 편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여 투자자의 정보환경이 지수편입 편출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제시하며 지수편입 및 편출효과에 대한 연구를 공시행태 연구로 확대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중차분법을 사용하여 지수편입 및 편출효과를 고려하여 선행연구가 잠재적으로 가질 수 있는 방법론을 보완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changes in KOSPI 200 index on corporate disclosure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method. By using DID method, this study controls the endogeneity issue arising from KOSPI 200 index inclusion criteria, which mainly is market capitalization. Also, DID method controls the effect of changes in disclosure rules and regulations. This paper’s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y evidence that firms’ disclosure frequency increased after KOSPI 200 index inclusion was not found. This result suggests that index inclusion does not lead market oversight to demand more information from firms. Instead, firms’ disclosure frequency significantly increased a year before inclusion due to the increase in firm size. Second, disclosure frequency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dex exclusion. With the univariate result which shows no significant change in firm size, this suggests that exclusion event itself triggered firms to decrease disclosure frequency. In summary,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at KOSPI 200 index inclusion will lead to increased market oversight demanding more disclosures from firms, newly included firms’ disclosure frequency did not change. However, as for exclusion case, firms decreased disclosur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prior literatures by providing a new aspect of corporate behavior around KOSPI 200 index change. While prior studies mainly examined stock price response and firms’ accounting policies, this paper expands these understandings to firms’ disclosure behavior. In addition, DID method used in this paper provides a valuable implication on the methodology of prio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