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디자인 싱킹 기반 STEAM교육 교사연수가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교사연수는 2020년1월 2일간 집중캠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교육내용은 첨단 과학기술과 예술이 강조된 STEAM 내용에 디자인 싱킹을 반영하였다. 연구대상은 이 교사연수에 참여한 광역시 소재 초중등학교 교사 18명으로 선정하였다. 교사들은 교사연수 사전 사후에 5척도 리커트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포함하는 조사도구에 응답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워드 클라우드, 연결중심성 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STEAM교육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사연수의 교수·학습이 ‘실습(메이커 활동)’과 ‘협력(배려, 소통)’, ‘아이디어 구현(프로토타입)’, ‘문제해결’ 등을 강조하여 타 연수와 차별화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교사들은 ‘실습’과 ‘협업’을 가장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사연수 후, 디자인 싱킹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키워드로 응답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총 68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이들 키워드들은 ‘인간중심(공감)’, ‘창의성’, ‘문제해결’, ‘협업’, ‘통합적 사고’의 5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이들 대주제 범주에서는 ‘인간중심(공감)’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창의성’, ‘문제해결’ 순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가운데 ‘공공성’과 ‘창의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디자인 싱킹 단계별 인식에서 교사들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공감’ 단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재교육 담당교사 대상 디자인 싱킹 기반 STEAM교육 교사연수는 교사의 수업역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이 교사연수의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은 영재교육 현장에서 디자인 싱킹 STEAM교육의 모범수업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 design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training program on the perception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Research subject includes 18 gifted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a metropolitan city. The design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s an intensive camp format for two days in January 2020 with contents of high-tech and arts as STEAM education. A survey instrument with 5 scale Likert items and open-ended questions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chers’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examined with a paired t-te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EAM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significantly increased.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the program as ‘practices(maker activities)’, ‘cooperation(care of others, communication)’, ‘implementation of ideas(proto-type)’, and ‘problem solving’ in comparison with othe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particular, teachers showed most emphasis on practices and cooperation. There were 68 keywords as teachers’ responses to design thinking. The keywords were categorized into ‘human-centered(empathy)’, ‘creativity’,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and ‘integrated thinking’. The highest emphasis was ‘human-centered(empathy)’, and followed by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The highest frequencies among 68 keywords were ‘publicity’ and ‘creativity’. In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design thinking based STEAM education teacher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program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he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the program can be employed as exemplary teaching strategies in gif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