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적석총의 변천은 방향성의 측면에서는 견해가 모아져있지만 분구의 형태, 묘제 등 연구자마다의 주안점에따라서 다양한 분류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적석총이 적석구조물, 지상식구조물로서 갖는 근본적인 資料性의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에 그러한 적석총의 최대잔존물임과 동시에 기초자재인‘석재’의 관점에서는 언급만 되어 왔을 뿐 중점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보고자료, 일제강점기 유리건판 자료 및 현지 실견을 통해 약측도를 제작하고 자죠를 보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석총에서 석재가갖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적석총과 유사한 구조인 현대 석축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에서 면석과 벽체가 갖는 구조적 상관성을참고하였다. 석재의 가공과정, 축조과정을 고려하면 석재의 가공양상이 기단ㆍ계단의 외벽의 組積양상을 좌우하며 나아가 전체 적석총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석재에 따라 크게 3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소형의 가공도가 낮은 A형 석재를 사용한 ‘A형 계장적석총’ 과 과도기 성격의 ‘A형 계단적석총’으로 구분하였다. 대형화, 角石化가 진전된 B형 석재를 사용한 ‘B형 계단적석총’으로 구분하였으며 기단축조양상 및 층단 구성을 통해 ‘B형 저단형 계단적석총’, ‘B형 대석기단ㆍ대형우석 계단적석총’으로 세분하였다. 가장 가공도가 높은 C형 석재를 사용한 ‘C형 계단적석총’으로 대별하였다. 일련의 분석을 통해 A형 계장적석총의 등장과 B·C형 계단적석총으로의 변화과정에서 축조기술자의 적석총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의 진전을 바탕에 두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고대한 분구에 대한 요구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의 개선과 축조효율의 증대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삼국시대의 ‘高 塚’의 등장의 맥락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To understand Goguryeo society in the mid-term, the Tonggou Ancient Tumuli have been perceived as the main data and the Tumuli were composed of stone mound tomb. Chronology of the stone mound tomb generally has been conceded in a macroscopic view.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stone mound tomb because it has masonry stone structure. Therefore, it is consequential to distinguish between burial type and mound type to understand stone mound tomb. On the other hand, in the perspective of ‘stone’, single unit material that composed the stone mound tomb, has not been focused. The stone is not only the most remained material related to mound type of stone mound tomb and but also the basic foundation that affect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stone mound tomb. However in some cases, the front elevation drawing of stone mound tomb was not included in excavation research reports. Therefore, structural analysis of stone mound tomb is attempted in this report by brief measurement through on-site survey in Tonggou with existing elevation drawings. Referring to engineering research about 'retaining wall',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ne and piling method of stone are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of the stability of the stone mound tomb. Accordingly, it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appearance of stone processing as construction materials. Stone mound tomb could be devided into three major stages, referring to the previous Chronology; A-type stone mound tomb construction phase from end of the AD 3rd century, the B-type stone mound tomb construction phase from the first half of the AD 4th century to the second half of the AD 4th century. From the late 4th to early 5th centuries, stone mound tomb were constructed using large-scale B-type stone and C-type stone. Through a series of analysis, it allowed us to explain the existing classifications in detail by analyzing structural stability, construction efficiency, and the purpose of constructing the “High mound tomb”. And we can confirm that the change of the mound was developed to promote structural stability based o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builders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