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등학교 시기 어떤 학년에서 또래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이 크게 증가하는지 안다는 것은 학년의 아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경북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 2∼6학년 561명(남자 274명, 여자 2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는 기존의 또래 상호작용 척도와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척도를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또래 상호작용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정서적 상호작용, 도구적 상호작용, 동반적 상호작용과 같은 세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1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시기에는 또래 상호작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4, 5학년 시기에 또래 상호작용 빈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5학년 때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점수에서 더 높았다. 넷째,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정서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적 상호작용은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년별 발달 특성이나 친구관계를 이해하는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Recognizing grades in elementary school have significant increases i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can be beneficia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se grade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according to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561 students (Male: 274, Female: 287) in the 2th to 6th grades of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buk-do. The scale was used after re-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xisting peer interaction scale and social perspective capacity scale.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peer interaction scale,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ffective interaction, instrumental interaction, and companion interaction, and one factor was extracted for social perspective-t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rst, in elementary school, the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s continuously increases. Particularly, the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s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4th and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social perspective-ta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s to increase in the fifth grade. Third, women had higher scores in affective interactions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than men. Fourth, peer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show a positive correlation. Specifically, affective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affective interaction affects social perspective-t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ies such as the friend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