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종교에 대한 다양한 비판적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지금, 공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교사는 과연 종교에 대해서 무엇을 말할 수 있으며,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에 대해 철학적으로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Dewey의 후기 저작인 『공동 신앙(A Common Faith)』에 제시된 종교론을 분석하였으며, 그 핵심을 ‘종교적 경험’, ‘신’, ‘민주적 공동체’로 제시하였다. 그의 종교론에 따르면 종교는 절대적 존재에 의지하는 명사적 개념으로 정의할 수 없으며, 자신의 삶을 보다 나은 것으로 만드는 상태인 ‘형용사적 상황’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영역의 것이다. Dewey는 ‘신’ 개념 역시 특정 초월적 존재가 아닌, ‘다양한 이상적 가치의 총합’으로 설명하며, 그러한 이상이 우리 삶에서 구현되는 과정에서 사회가 ‘민주적 공동체’가 된다고 말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Dewey의 종교론에 근거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 증가하고 있는 타인에 대한 혐오와 배타적 태도, 초월적 존재에 대한 맹목적 신념이 지닌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교사는 학생들이 추구해야 할 삶의 태도로서 ‘종교적 경험’의 가치에 대해서 말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그 구체적 내용으로 ⅰ) 형용사적 가치 추구의 태도, ⅱ) 배타성의 극복, ⅲ) 민주시민의 참여적 태도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bout what is the essence of religion, now that various critical voices on religion are flowing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what can teachers who practice public education in the field really say about religion? I analyzed the theory of religion presented in Dewey's later work, A Common Faith, and suggested its core as 'religious experience', 'god', and 'democratic community'. According to his theory of religion, religion cannot be defined as a noun concept that relies on absolute existence, but it is a realm that can be experienced as an adjective situation, a condition that makes one's life better. The concept of 'God' is also explained as 'the sum of various ideal values' rather than transcendental beings, and it is said that society becomes a ‘democratic community' in the process that such ideals are embodied in our lives. Based on Dewey's theory of religion, I criticized the problems of the increasing hatred and exclusive attitude toward others and blind belief in transcendental beings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suggested that teacher should be able to talk about the value of 'religious experience'. Specifically, it discussed ⅰ) the attitude of pursuing adjective values, ii) overcoming exclusivity, and iii) the participatory attitude of democratic citiz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