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 통제소재와 회피중심 대처방식이 이중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취업준비생 4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30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 외적 통제소재, 회피중심 대처방식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외적 통제소재와 회피중심 대처방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외적 통제소재와 회피중심 대처방식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취업준비생이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 요인들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적 전략을 지속적으로 검토 및 개발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voidance coping on the job applicant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hich was divided into the anger-in and anger-out emotion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455 job applicants. A total of 306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ger-in, anger-out,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voidance cop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was partially mediated by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voidance coping.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out was completely mediated by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voidance co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and review therapeutic strategies to treat variou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actors experienced by job applica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