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과학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제로서 바우처가 지닌 가능성에 착안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문화 바우처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해외 바우처 사업 운영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우처를 활용한 과학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문화의 개념 및 바우처 사업 운영에 관한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과학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도출하고, 해외 주요국의 성공적인 바우처 운영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우처를 통한 과학문화의 양적 확대와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기존 바우처 사업에 적용되어온 유사시장론(quasi-market)을 넘어 서비스산업화와 신(新)산업 육성에 중점을 둔 사업 운영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해외 주요국(미국, 프랑스, 네덜란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과학문화 바우처 사업 운영에 있어 통합성을 강화한 인프라 구축, 과학문화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고려한 관계(network) 및 기술(technical) 차원의 지원, 자원봉사를 통한 범시민적 참여확대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문화의 양적, 질적 성장과 과학문화 산업의 육성을 도모하기 위한 과학문화 바우처 사업의 방향과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otential of vouchers as a mechanism to stimulate the science culture of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rategic plans to stimulate the science culture utilizing voucher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and overseas cases of culture vouchers. The concepts of science culture and administrative plans for vouchers are analyze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is research shows that existing voucher plans need to move beyond quasi-market framework toward advanced voucher plans focused on industrializing services and fostering new industries in order to achieve expansion and internal reinforcement of science culture. Based on the overseas cases of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the Netherlands, this research presents the importance of building integrated-infra networks, and technical and relational support policy for achieving expansion. The authors also address the necessity to focus on internal reinforcement of science culture, and encouraging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science voucher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we expect to invigorate the science culture voucher policy and eventually expand prospective space for nurturing science culture industries throughout the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