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의 실태를 일반학생의 진로교육 실태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통합학급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조사하여 통합된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 진로교육의 실태는 일반학생에비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대한 진로교육의 인식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필요성 및 효과, 운영영역에서 장애학생의 경우 일반학생보다 인식이 낮은 편이었다. 특히 통합학급 내에서의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진로교육이 통합학급교사의 책임인지에 대하여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다르게 인식하였으며, 장애학생의 경우 더 낮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운영에 있어서는 장애학생의 경우 통합학급 교사는 본인 학교와 학급에서 일반학생의 경우보다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통합교육현장에서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성 신장과 행‧재정적인 지원, 특수교사 및 진로담당교사와의 협력, 가정및 지역사회 협조 등 지원체제 및 여건을 마련하여 초등학교 단계에 맞는 장애학생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기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find effective career education plan of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perceptio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or care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by surveying 120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test. The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elementary schools was not as good as that of students withoutdisabilities. Second, most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f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similar level, but especially in thenecessity, effectiveness, and operation category, the perceptio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or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in inclusive classroom and theresponsibility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ffered from those of studentswithout disabilities, and was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ase of studentswith disabilities,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judged to be less successful than students withoutdisabilities in their schools and classrooms. In conclusion, since th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is not being smoothly conducted in the inclusive settings, it isnecessary to improve th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elementary school level by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and conditions such as administrative andfinancial support,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and cooperationwith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