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으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교육 방법이 채택되었음에도 국가마다 구체적인 학습 맥락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확인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한국과 스웨덴의 대학생이 체험한 온라인 교육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서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은 학습 동기와 참여수준,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와의 일대일 관계를 조성하는 온라인 학습 환경은 평등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소극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둘째, 문화에 따라 추구하는 의사소통 전개 방식, 학습 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회문화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온라인 학습 지원 전략을 구축하여 교육의 효용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협력적 학습 공동체를 바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환경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구축하며, 미래 핵심역량 개발의 가능성을 높인다. 국내 대학에서 협력적 온라인 학습 환경의 조성을 위한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With the spread of ‘untact’ culture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onlin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worldwide. Although the same educational method was carried out, the specific context of learning varied from country to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Korean and Swedish university students’experiences of online education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confirm the socio-cultural differences of learning. It was found that activ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other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 level, and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at fosters a one-to-one relationship with the instructor creates an equal learning environment, which induces passive learners'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and the learning skills that students prefer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ltur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by establishing differentiated online learning support strategies according to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Lastly,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y builds a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uture core competencies. This suggests that domestic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seek out ways to create a coopera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