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학교교육 현장 적용 및 확산을 목적으로지속가능발전교육 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와 관련한 주제로 가치관, 태도, 기술을 습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5개씩 총 15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 10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사전․사후 단일집단 실험설계 방법으로 5개 주제를 가지고 8주 동안 10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핵심역량,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본 영역,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로 구성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와 환경·경제·사회적 영역에 대한 역량이 향상되었고 지속가능발전목표s 13~17 목표 관련 태도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학생들의 면담을 통해 분석한 결과,학생들은 수업에 만족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이해를 하였다고 의견을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정규교육과정 적용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아 학교 현장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를 기초로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 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들이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별로 다양하고 연계성 있게 지속적으로 개발되어학교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가 착근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and ESD effectivenessby developing a program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ESD connected with the sustainabledevelopment goals(SDGs) that were raised follow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MDGs). To this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urriculum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sustainabledevelopment education, 12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SDGs 13~17 goals and developed a totalof 15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program through expert review,10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applied for 8 weeks with 8th classes with 4subjects by applying a pre- and post-test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ccording to the schoollev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ore competency, SD general area, socialarea, environmental area, economic area, SDGs 13~17, students' basic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etency in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reas improved,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change in attitudes related to the SDGs 13~17Goal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curriculumlinkage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ESD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isresearch,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programs related to 17 SDGs that areappropriate for the student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classes and the grade group so that the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sprea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