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는 전세계 가상자산 거래 국가 154개국 중 거래 수신량에서 3위를 차지할 만큼 큰 규모를 갖춘 시장 중 하나로서 거래량, 거래대금에서 의미있는 지표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가상자산거래소는 77개 이상이며, 거래 가능한 가상자산도 260개를 넘어가고 있다. 특히, 가상자산과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는 국내 기업은 금융업이 7개, IT 서비스업 및 통신업이 6개 등으로 15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국내 가상자산 거래 시장은 2017년 비트코인 열풍이 시작된 이래로 계속하여 성장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금융당국은 가상자산을 규제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보다는 해킹, 개인정보유출, 투자사기 등 실제 이용자의 피해가 발생하자 후속조치로 가상자산공개(Initial Coin Offering; ICO) 전면금지, 거래실명제 도입, 자금세탁방지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였다. 즉, 가상자산에 대한 선제적인 규제 정비가 아닌 사후적 정책 대응으로 인해 실제 거래에서 이용자들은 적절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2020년 3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가상자산 규제 권고안을 반영한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의규정을 신설하고, 가상자산사업자에게 여러 의무를 부과하였으나 그 내용이 자금세탁방지에만 국한되어 있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배려가 여전히 미비한 실정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해외 주요국은 가상자산이 향후 일반적인 상거래 및 금융거래에서 상용화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감안하여 가상자산 전반에 대한 제도정비를 완료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즉, 선제적 대응으로 가상자산을 기존의 제도권으로 포섭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 계획 및 투자자 보호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따라서 전세계 가상자산 시장에서 유의미한 거래 규모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행 가상자산 관련 법제를 살펴보고, 해외 주요국의 규제 동향 분석을 통해 국내에 적합한 투자자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디지털 경제로의 변환기에 대응해야 할 현시점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가상자산의 법적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최초로 가상자산에 대해 정하고 있는 특금법을 검토하였다. 이후, 가상자산 산업 선도국가인 미국, 영국 및 스위스의 규제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가상자산의 유형별 분류를 통한 금융 규제 및 투자자 보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가상자산 산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가칭)」의 제정필요성을 도출하여 국내 가상자산 거래 시장이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Korea is one of the largest markets in the world, ranking the third in transaction reception among 154 virtual asset trading countries, and has meaningful indicators such as trading volume and transaction price.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77 Virtual Asset Exchanges are being operated in Korea, and the number of virtual assets that can be traded exceeds 260. In particular, the number of domestic companies involved in virtual asset-related businesses is expected to be seven in the financial industry, six in IT services and communications, and more than 15 in total. The domestic virtual asset transaction market has been growing since the start of the Bitcoin boom in 2017.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s and authorities have not established definitions and legal grounds on virtual assets. Several guidelines were presented as follow-up measures when actual damage such as hacking,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fraud occurred.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users in actual transactions did not receive adequate legal protection due to a late policy response rather than a preemptive regulatory overhaul of virtual assets. 2020, The revised 「Act on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which reflects the FATF's Virtual Asset Recommendation, established a new definition of virtual assets and virtual asset business operators and imposed obligations on virtual asset business operators equivalent to financial companies. However, the content is limited to the prevention of money laundering, and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for the protection of investors are still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major foreign countries have completed institutional maintenance of virtual assets as a whole, expecting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commercialized in general financial transactions in the near future. That is, virtual assets were incorporated into existing legal institutions, and related industry development plans and financial investor protection schemes were established. Therefore, it is a meaningful task at this time to respond to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conomy by examining Korea’s current virtual asset-related legislation and analyzing regulatory trends in major foreign countries. In respo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ature of virtual assets and on the 「Act on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virtual asset regulation trends in the U.S., the U.K., and Switzerl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aw on the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the Virtual Asset Industry」, which focuses on effective financial regulation and investor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