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집단, 자기자비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처치가 발표불안 및 인지적 회피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 38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수용집단(14명), 자기자비집단(13명), 통제집단(11명)에 무선할당 하여 각 집단에 실험처치를 실행하였다. 이후 단기 처치의 효과가 유지되는지 확인을 위해 1~2주 뒤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집단에서 안전행동평가, 수행불안목록, 인지적 회피, 발표 전 측정한 발표완수 자신감과 불안 조절에 대한 자신감, 평가에 대한 염려, 발표 후 측정한 발표 중 초기불안, 평가에 대한 염려가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추후 검사에서 심리적수용과 자기자비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자기자비집단에서는 수행불안목록, 발표 전 측정한 발표완수 자신감과 불안조절에 대한 자신감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추후 검사에서 심리적 수용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안전행동평가, 수행불안목록, 발표 전 측정한 발표완수 자신감, 불안조절에 대한 자신감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각각의 처치들이 발표 불안의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연구의 결과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38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region with presentation anxiety were wirelessly allocated to the acceptance group(=14), Self-loving kindness & compassion group(=13), and the control group(=11). And I tried to find out whether each treatment is effective in reducing speech anxiety. In the acceptance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safety behavior evaluation, performance anxiety list, cognitive avoidance, confidence in completion of the presentation measured before presentation, confidence in controlling anxiety, concern about evaluation, initial anxiety in the presentation measured after presentation, and concern about evaluation de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a follow-up test. In the Self-loving kindness & compassion group, the performance anxiety list, the self-confidence measured before the presentation, and the confidence in anxiety control de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Psychological acceptance in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in follow-up test. In the control group, the safety behavior evaluation, performance anxiety list, confidence in completion of presentation measured before presentation, and confidence in anxiety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