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유교적 전통과 도덕 등 규범의 영향력이 강한 한국에서 창업의지 발현은 가족과 친구 등 인적 네트워크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으므로, 공적 영역인 대학 내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 의지를 강화하는 방법은 창업의지 제고를 위한 유용한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창업교육자 요인과 교육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창업교육만족도를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이 창업교육만족도와 창업의지 간에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명지전문대학 창업교육 학습자 15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표본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위해 신뢰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연구 및 분석 결과, 창업교육자와 자기주도성은 창업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교육만족도는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창업교육만족도와 창업의지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기존 선행연구에서 연구되지 않은 창업교육을 수강한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의지 발현의 내/외적 요인을 실증 분석하여, 내/외적 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창업교육만족도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열의와 참여의지 등을 원천으로 표출되는 자기주도성이 창업의지 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창업교육에 있어서 개별 수강자의 당면과제와 학습수준을 고려한 창업교육자의 맞춤형 교수법이 창업교육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ntre- preneurship educators and self-direction on entrepreneurship will through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ship will. [Methodology]This is a study of 150 learners of start-up education at Myongji College.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ample. [Findings]Entrepreneurship educators and self-directedness and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will, and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mplications]It provides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at self-directio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will, and that the customized teaching method of entrepreneurship educators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learning levels and challenges is a factor that increas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