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우리 법제에서 행정형 ADR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률은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행정형 ADR을 통한 분쟁해결의 효력을 고찰하는 것은 행정형 ADR 기관의 설치 현황과 그 근거가 되는 개별 법률들의 규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방법에 따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행정형 ADR 기관들을 가능한 한 망라적으로 분석하였고, 현재 주류적으로 인정되는 분쟁해결의 효력이 ‘재판상 화해’의 효력임을 전제로 하여 그에 대한 미비점을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해석론을 도출함으로써,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 분쟁조정절차(위원회)’의 도입에 대한 법적 검토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쟁해결의 효력으로서 재판상 화해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민법상 화해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분쟁해결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이에 반하여 재판상 화해에 대하여 준재심을 통한 불복이 엄격하게 제한되는 결과 자칫 헌법상 재판청구권이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분쟁해결의 실효성을 확보하면서 재판청구권의 과도한 제한을 방지하고자 이 연구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재판청구권의 제한을 최소로 한다는 차원에서 재판상 화해에 인정되는 기판력과 집행력을 분리하여 조정성립의 효력으로 기판력은 인정하지 않더라도 당사자 가운데 일방이 합의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분쟁해결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집행력은 인정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재판상 화해의 일반적인 효력, 즉 기판력과 집행력을 부여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분쟁조정위원회의 구성 및 절차 운용을 엄격하게 정비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헌법재판소가 제시하고 있는 세 가지 요소, 즉 ① 분쟁조정위원회의 제3자성과 독립성, ② 조정절차의 공정성과 신중성, ③ 재판청구권의 포기까지 포함하는 의미에서의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에 대한 당사자의 동의라는 요소들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re is no Act that generally regulates administrative ADR in our legislation. Therefore, to consider the effect of dispute resolution through administrative ADR, it is inevitable to comprehensively review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ADR institutions and the provisions of individual Acts on which they are base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administrative ADR institutions as comprehensive as possible. In addition, on the premise that the effect of dispute resolution, which is currently recognized as the mainstream, is the effect of ‘judicial compromise’, an interpretation theory was derived that can complement the deficiencie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legal review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edical Devices Dispute Mediation Procedure(Committee)' under the Medical Devices Act,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Recognizing the effect of judicial compromise as the effect of dispute resolution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dispute resolution rather than recognizing the effect of civil compromise. On the other hand, this also reveals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 trial may be restricted as a result of the strict restrictions on objection through quasi-retrial for judicial compromise.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 of dispute resolution and to prevent excessive restrictions on the right to a trial, this study proposed two measures.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approach by dividing res judicata and the executory power recognized for judicial compromise. In order to minimize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a trial, even if the effect of res judicata is not recognized as the effect of completion of mediation, if one of the parties fails to implement the agreement, a method of recognizing the executory pow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dispute resolution can be considered. Next, it can be considered to strictly overhaul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procedures of the Dispute Mediation Committee so as to justify the general effect of judicial compromise, that is, giving res judicata and the executory power. In this case, the three factors sugges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be referred to: ① the third party and independence of the Dispute Mediation Committee, ② fairness and prudence in the mediation procedure, and ③ the parties' consent to the Dispute Mediation Committee's decision in the sense of waiving the right to a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