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어린 시절 형성되는 불안정한 애착은 우울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울 발병에 취약한 성인진입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각된 아동기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각각 우울을 예측하는 기제에서 우울경험양식의 하위요인인 의존성과 자기비판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성인진입기 남녀 200명(남 74명, 여 12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애착불안, 애착회피, 의존성, 자기비판, 우울을 측정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는 우울을 정적으로 예측했으며, 이 관계는 자기비판에 의해 완전매개되었다. 반면,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우울의 관계에서 의존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결과는 높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성인진입기 우울에 취약하게 하며, 그 과정을 자기비판이 설명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각된 아동기 애착이 우울경험양식을 통해 성인진입기 우울 발달에 기여하는 기제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개입표적을 제시하는 실제적 함의가 있다.


Although insecure attach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risk factor for depression, its mechanisms predicting depression in the emerging adulthood has been relatively unexplo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imensions of perceived childhood attachement(i.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on the levels of depression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role of depressive experience style as a mediator. A total of 200 participants(74 males, 126 female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ependency,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positively predicted depression, and these associations were fully mediated by the self-criticism factor of depressive experience style. Conversely, the dependency factor of depressive experience style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s of attachment and depression.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mechanisms by which perceived childhood attachmen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the emerging adulthood through the depressive experience style. Our findings also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oviding promising targets for preventive interventions and treatments for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