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적지 않은 수의 주석가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ix4, ix8, ix9 이 세 챕터를 ‘자기애’를 핵심 키워드로 삼아서 읽고자 원한다. 이들은, 한 행위자가 한편으로 타자 친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우정의 태도 혹은 우정의 감정과, 다른 한편으로 자신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긍정적 태도 혹은 감정, 즉 자기애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들의 독해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는 ix4, ix8, ix9에서 친구 사랑은, 이 사랑이 설명 혹은 정당화되려면, 자기사랑에로 어떤 식으로 소급되거나 혹은 자기 사랑에 근거 지워진다는 주장을 한다. 이들의 아리스토텔레스 해석에 따르면, 이타적 행동 및 이타적 심리는 근본적으로 자기애로부터 파생된다. 이런 점에서 이런 해석은 ‘파생 논제’라 불릴 수 있다. 파생 논제에 따르면, 친구 갑의 친구 을에 대한 사랑이 갑 자신의 자기애로부터 파생하는 이유는, 갑은 을의 좋음을 자기 자신의 좋음의 부분으로 원하는 데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이 글의 목표는 파생 논제를 비판하는 것이다. 파생 논제는 다음 관점들에서 볼 때 취약하다. 첫째, 파생 논제는 viii3-5에서 제시된 한 중요한 구분, 즉 우연적 우정과 비 우연적 우정 사이의 구분을 흐릿하게 만든다. 둘째, 파생 논제는 ix8 후반부에 제시되는 자기희생 경우를 행위자 자신의 좋음의 확장으로 만듦으로써 자기희생을 희생이 아닌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는 텍스트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자의적 해석이다. 셋째, 파생 논제는 ix9에서 “자기 자신의 것”이라는 독립된 아이디어가 설정돼 있고 이 아이디어가 중심이라고 본다. 그러나 ix9의 중심 아이디어는 본성적 즐거움에 놓여 있다.


Many commentators would like to read three chapter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namely ix4, ix8 and ix9, on the basis of the idea of self-love, making this the central concept. They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gent’s friendship-based attitude or such emotion toward her friend, the other, and her positive attitude or emotion toward herself, that is, self-love. According to their reading of Aristotle, the central thesis of ix4, ix8 and ix9 is that an agent’s love of her friend, if this love is to be explained or justified, should be in some way referred to or based on her self-love. Their interpretation leads to a claim that altruistic psychology and altruistic behavior are derived from self-love. In this sense, that kind of interpretation can be called ‘derivation-thesis.’ According to the derivation-thesis, the reason of why the love of a friend, say A, toward her friend, say B, comes from A’s self-love i s du e to t he f act t hat A wants to g et a good of B as part of her own good. I will criticize in this article the derivation-thesis. This thesis is vulnerable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it makes an important distinguishing line in viii3-5 between an accidental friendship and a non-accidental one blurry. Second, it transforms what is in the later part of ix8 given as a real self-sacrificial behavior into a case that is not self-sacrificial any more, making that behavior an expansion of the agent’s own good. This reading simply does not fit the text. Third, the derivation-thesis presupposes that an independent idea of “what is one’s own” is set in ix9 as a central role for what is going in the text. Yet as I read the text, the central idea of ix9 consists in what is pleasant by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