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Objectives: In 2016, Korea introduced a law to recognize advance directives (ADs) and to allow patients to determine whether they want life-sustaining ca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complete AD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surveyed 250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visit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wo cities (Cheonan, Onyang) in Chungnam Province, Korea between September 23 and October 5, 2018. A total of 237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es. A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entering the variable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nivariate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intention to complete an A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ttitudes towards ADs, perceived good death,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mean score for all respondents’ intention to complete an AD was 2.33 out of 3. The mean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was 1.71 out of 3; knowledge about the Life-Sustaining Care Act was scored the lowest at 1.60 of all sub-variables. The most powerful factor influencing intention to complete an AD was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β=0.298, p<0.001), followed by having no children (β=-0.203, p<0.01), and having not talked about death (β=-0.180, p<0.01). Significance of Results: As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i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intention to complete an AD,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s on ADs customized for the elderly population to raise awareness about ADs.


연구목적 : 2016년 한국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합법화하여 환자로 하여금 연명의료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9월 23일부터 10월 5일 사이에 충청남도 두 개 도시(천안, 온양) 내의 지역복지회관을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 250명을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총 237명이 질문지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단변량분석과 상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을 포함시켜서 단계적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이며, 독립변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 및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 모든 응답자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평균점수는 2.33점이었으며, 연명의료에 대한 평균지식은 1.71점이었다(최대 3점). 모든 하위변수 중에서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지식은 1.60으로 가장 낮았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력이 가장 강한 요인은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이었다(β=0.298, p<0.001). 그 다음으로는 자녀없음(β=-0.203, p<0.01)과 죽음에 대해 대화해본 경험없음(β=-0.180, p<0.01)이었다. 결론 :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노인집단에 맞춤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