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전본풀이>는 신의 좌정 과정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집안의 인간의 관계를 말해 주고 있다. 첫째는 부자관계다. 문전신과 정낭신의 관계인데, 높은 위치에 있거나 슬기롭다고 하는 사람이 실제로는 어리석고, 낮은 곳에 있거나 어리석다고 여기는 사람이 오히려 슬기로움을 보여준다. 명분의 허실을 떠나 현명하고 용기 있는 사람이 집안의 수호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하게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낡은 질서가 물러나야 새로운 질서가 서고 그것이 사는 이치로 작용해야 함을 일깨운다. 둘째는 처첩갈등이다. 조왕신과 측간신의 관계에서 우리는 우선 둘이 반목하였으니 ‘부엌과 화장실은 멀수록 좋다’는 속담 속에 과학적 지식이 숨어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런데 거리를 두지만 집안 울타리 안에 공존한다. 싸우다가 화해하게 되는데, 화해가 싸움이고 싸움이 화해인 원리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할 줄 안다. 언제나 처첩 갈등과 화합은 공존하고 있다. 선악이 공존하듯이 갈등이 화합으로 귀결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생이 상극이고, 상극이 상생이 되게 한다. 그리고 똥이 다시 먹을 것이 되고, 측간의 것이 부엌으로 가는 순환의 질서를 우리는 주목하게 된다. 이 세상 모든 것이 이렇게 순환한다. 안과 밖, 인간과 자연, 먹는 것과 배설한 것이 연결되어 있고, 분별과 공존이 연결되어 있다. 인간의 몸이 자연물이 되었다가 다시 인간의 몸으로 돌아오게 되는 순환성을 주목하면 좋겠다. 시체화생의 창세적 모티브가 있는데, 모양이 비슷한 것이 생성되었다는 것은 유감주술적 사유의 흔적이라 하겠다. 셋째는 부부관계다. 조왕신과 정낭신의 관계에서 우리는 역할분담의 지혜를 얻게 된다. 먹는 것과 아이 양육의 중심인 어머니 조왕신은 집안을 책임진다. 대문 밖 올레를 통해 나가 만나게 되는 마을길은 이웃과 통하는데, 마을의 대소사를 논하고 공동체적 삶을 일구는 것은 아버지 정낭신이 책임진다. 안과 밖의 장소성에 기대어 역할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일깨운다. <문전본풀이>는 집안의 인간관계를 설정하고 있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도 돌보고 있다. 신이 인간을 보살피는 신성한 공간을 설정하여 인간이 신성하게 살아가게 하고 있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가 된다고 보아 인간과 자연을 대등하게 설정하고 있다.


<Munjeonbonpuri> shows the process of God's enthralling in the house. It also tells about human relationships in the family. The first is father-son relations. This myth rather shows that he is actually foolish who is in a high position or who is said to be wise, and shows that he is wisdom who is in a low place or considered foolish. A wise and courageous man serves as the guardian of the family. This myth shows that the old order must be withdrawn to create a new order, and that the son God has the upper hand over the father God. The second is the conflict between a wife and a concubine. The kitchen god and the toilet god fight and kill each other. So they sit at a distance, but coexist inside the house fence. The two are reconciled in a fight. This is the principle that reconciliation is a fight and a fight is a reconciliation. The two know how to compromise on the right lines. Conflicts and harmony always coexist. Just as good and evil coexist, conflict returns to harmony. The excrement becomes food again, and we pay attention to the order of circulation in which the toilet's thing goes into the kitchen. Everything in this world circulates like this. Inside and outside, humans and nature, food and excrement are connected, and sense and coexistence are connected. It would be nice to note the circulatory nature of the human body becoming a natural object and then returning to the human body. In this myth, there is a Genesis motif in which a corpse becomes everything. The third is a marit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tchen god and the gate god, we gain the wisdom of division of roles. The kitchen god, the mother who is the center of food and child rearing, is responsible for the family. The village road, which leads through the alley outside the gate, connects with the neighborhoo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d of the gate to discuss the affairs of the village and create a communal life. The division of roles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unjeonbonpuri>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takes c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Because God takes care of man, a sacred space is created, and in this holy space man lives holy. This myth sets humans and nature on an equal footing because it sees humans as part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