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인 김기림은 시론과 시 창작을 통해 1930년대 문단의 모더니즘을 이끌어 우리 문학사에 중요하게 기록된다. 하지만 그에 비해 1933년에 작성한 미술비평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물론 그의 미술비평문은 단 한 편에 그쳐 김기림의 작품 세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1930년대 문인들이 미술비평에 가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당대 서화협회전과 조선미술전람회가 개최되던 상황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 그리고 김기림 본인의 예술의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미술비평문은 우리 문예사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텍스트이다. 전문적인 미술비평가가 출현하는 1950년대 이전에는 문인과 화가들에 의해 미술비평 활동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화가들은 비(非)전문가인 문인들의 감상기에 가까운 미술비평문에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문인들이 끊임없이 미술비평문을 남길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김기림의 비평에서와 같이 당대 조선미술전람회를 제외한 여타의 전람회와 작품에 대한 글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실을 통해 당시 화단에서 조선미술전람회와 서화협회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김기림이 시론에서도 중요하게 여겼던 리얼리즘의 방향성과 인텔리겐챠의 역할도 언급하고 있어 그의 예술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미술작품이라는 시각적인 매체를 통해 그의 예술 의식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기림의 미술비평문 연구를 통해 미술을 바라보는 그의 예술 의식을 포함하여 문인들의 미술비평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해본다.


Poet Kim Ki-rim led the modernism of literature in the 1930s and is important in Korean literary history. However, there is no independent study of his art critique written in 1933. This critique is not representative of Kim Ki-rim's works because it is one and only critique of his. However, it is a must-see text in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at it shows why writers were forced to participate in art criticism in the 1930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and the Joseon Art Exhibition were held. Before the 1950s, when professional art critics emerged, art criticis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writers and painters. The painters complained about the art criticisms written by writers who were not professional in painting which were rather closer to reports than critiques. Nevertheless,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art criticisms because of the lack of writings on other exhibitions and works except for the Joseon Art Exhibition, as Kim Ki-rim criticized. Through this fact, we can also see what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meant at the time. In particular, Kim Ki-rim also mentions the direction of “realism” and the role of “Inteligentia,” which he considered important in his theory, providing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his view of art. We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visual media called artwork. Through Kim Ki-rim's research on art criticism, I hope that literature's research on art criticism becomes more active, including his artistic sense of understanding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