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2020년도에 발표한 ‘2015년도 지역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17개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조선산업의 지역별 기본 경영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지역의 조선산업에서 발생한 투자 및 수출 활동이 전국 17개 지방자치단체의 165개 소분류 산업부문에 미친 생산, 수입, 부가가치, 고용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선산업 생산활동은 경남, 울산, 전남, 부산, 전북 지역의 선박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히 발생했다. 그 결과 조선산업의 투자 및 수출 활동에 따른 산업연관 파급효과는 우선 이들 지역 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동시에 그 효과는 지역 간 산업연관 관계를 통하여 전국 각 지자체에 차별적으로 파급되었다. 지역 간 파급효과는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큰 서울과, 기 계, 전기, 금속 산업이 발달한 경기도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투자와 수출의 산업 간 파급효과는 33개 대분류 기준으로 볼 때, 조선산업이 속한 운송장비 산업은 물론, 그 밖에 금속, 임가공, 기계, 장비, 사업지원서비스, 도소매 산업을 중심으로 전국 전산업에 파급되었다.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은 국가 경제 특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경기순환 및 국제무역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국내 각 지역의 조선산업 및 그 연관산업 그리고 지역 고용 및 지역기업 지원정책 등에 유익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inducement effects of the Korean ship building industry in the 16 korean local governments on the production, value-added, imports, employments of the 166 industrial sectors in the 17 local goverments of Korea have been estimated by the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method with the ‘2015 Regional Input-Output Statistics, which was announced recently in 2020 by the Bank of Korea. Since major korean ship building companies are located in Gyongnam, Ulsan, Jeonnam, Busan, Jeonbuk regions, about 99% of the Korean ship buildng, investments, exports occurred in these regions in 2015. It is found that the inter-regional inducement effects of ship building in the 16 regions scattered among 17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Seoul and Gyonggi regions are found to be much favored i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s. It is also found that the inter-industrial inducement effects of ship building in 16 regions occurred mainly in transportation equipments, metal products, foundry manufacturing products, machines and equippments, business assistance service, and whole-sale service industries.